본문 바로가기

주식 파먹기/주식 공부

주당순자산가치(BPS)

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

기업이 청산한다고 가정했을 때, 한 주당 보상받을 수 있는 자산가치(청산가치)를 의미하는 주당순자산가치(BPS)에 대해서 알아보자.

주당순자산가치(BPS) 개요

주당순자산가치(BPS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며, 청산가치라고도 불린다.

주당순자산가치(BPS) = 기업의 현재 순자산 / 총 발행 주식 수

기업의 순자산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가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어느 기업의 총자산이 10억인데 2억의 (부채)을 지고 있다면 기업의 순자산은 8억이 된다. 이 기업이 1만 주의 주식을 주식시장에 발행했다면, 이 기업의 주당순자산가치(BPS)는 80,000이다.
이 기업의 주당순자산가치(BPS) = (10억 - 2억) / 10,000주 = 80,000원

주당순자산가치(BPS)가 좋은 투자지표로 쓰이는 이유는 기업의 순자산만을 고려한 값이며, 기업의 주가 정보가 전혀 고려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기업의 주가주당순자산가치(BPS)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 각종 정부의 규제 및 진흥 정책, 투자자들의 수급거래량 등 주가를 결정짓는 요인은 무수히 많다. 따라서 실제 주가주당순자산가치(BPS)와 매우 다를 수 있다. 하지만 주당순자산가치(BPS)를 알면 기업의 주가가 현재 저평가되어 있는지, 고평가 되어 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주당순자산가치(BPS) 활용

주당순자산가치(BPS)와 같이 사용되는 지표로 주가순자산비율(PBR, Price-to-Book Ratio)이 있는데, 이는 주가주당순자산가치(BPS)로 나눈 비율로 주가1주당 순자산을 비교한 수치이다. 장부상가치로 회사 청산 시 주주가 배당받을 수 있는 자산의 가치를 의미한다.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이라면 특정 시점의 주가와 기업의 1주당 순자산같은 경우이며, 이 수치가 낮으면 낮을수록 해당 기업의 자산가치가 증시에서 저평가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 미만이면 주가가 장부상 순자산가치(청산가치)에도 못 미친다는 뜻이다. 주당순자산가치(BPS)가 높다는 것은 자기 자본의 비중이 크고 실제 투자가치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주당순자산가치(BPS)는 기업 내용의 충실도와 직결될 뿐만 아니라 자산충실도가 주가에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에 대한 척도가 되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척도라고 할 수 있다.
만일 주당순자산가치(BPS)가 주가보다 높은 경우 주주들은 회사 청산을 통해 현재 주가 수준 이상의 자산을 배분받을 수 있다. 장세의 등락에 따라 주가주당순자산가치(BPS)가 단기적으로는 역전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주가주당순자산가치(BPS)를 하회할 수 없는 것이다.

 

참고: 해시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