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지표인 자기자본이익률(ROE)에 대해서 알아보자.
자기자본이익율(ROE) 개요
기업이 자기 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하여 1년간 얼마를 벌었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알 수 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 / 평균 자기 자본 * 100 (%)
분모는 자산이 아니라 자본이다. 당기순이익은 자산(자본 + 부채)을 통해 벌어들이지만,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순이익을 주주지분 관점에서 바로본 것이다.
총자산이익률(ROA) = 당기순이익 / 자산총액 * 100 (%)
자기자본이익률(ROE)이 10%이면 10억 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 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자기자본이익률(ROE)이 20%이면 10억 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2억 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이다.
자기자본이익률(ROE) 설명
자기자본이익률(ROE)이 높다는 것은 자기 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자본이익률(ROE)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서 이익의 척도가 된다.
일반적으로 자기자본이익률(ROE)이 회사채 수익률보다 높으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며, 최소한 국채 수익률보다는 높아야 효율적인 경영이 이뤄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시중금리보다 높아야 기업 투자의 의미가 있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시중금리를 밑돌 경우 투자자금을 은행에 예금하는 것이 더 수익률이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기자본이익률(ROE)이 높은 기업이라고 꼭 투자 대상으로 적합하다고 볼 수는 없다. 음식점이나 노점상들은 자기자본이익률(ROE)이 100%를 넘는 경우도 많지만 이런 사업을 유망하다고 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이 높은 기업이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되고 이러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경쟁사를 이기고 성장하겠지라는 기대감은 생길 수 있으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므로 자기자본이익률(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은 위험하다.
자기자본이익률(ROE) 활용
워런 버핏은 주식투자를 하려는 사람들에게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최근 3년간 연평균 15% 이상인 종목에 투자할 것을 추천했으며 그의 포트폴리오의 평균 자기자본이익률(ROE)도 시장대비 굉장히 높은 수준이다.
주가수익비율(PER)이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낮은 그룹이 높은 그룹보다 높은 주가상승률을 기록하지만, 자기자본이익률(ROE)은 높은 그룹이 무조건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12% 정도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을 매년 꾸준히 기록하는 그룹이 장기적으로 최고의 주가상승률을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가수익비율(PER)
주식 종목에 대한 분석 방법으로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이 있으며, 기본적 분석 지표 중 하나인 주가수익비율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주가수익비율(PER) 개요 주가수익비율(Price-to-Earnings
willri.tistory.com
주가순자산비율(PBR)
주가(Price, 주식 가격)가 1 주당 순자산의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표시하는 주가순자산비율(PBR)에 대해서 알아보자. 주가순자산비율(PBR) 개요 주가순자산비율(PBR, Price-to-Book Ratio)은 주가(Price)
willri.tistory.com
통계에 따르면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세계평균 수준인 10% 정도에 다가가려는 특징이 있다고 한다. 어떤 업종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시장평균보다 낮으면 경쟁심화로 그 업종 내에서 경쟁력 없는 회사들이 부도가 나서 사라지고 생존한 우량기업들이 시장점유율을 추가적으로 확보해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상승한다. 반대로 어떤 업종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시장편균보다 높으면 신규 기업들이 그 업종에 뛰어들어서 기존 기업들의 점유율이 하락하고 단가하락을 하게 되어 자기자본이익률(ROE)이 하락하게 된다.
세계적인 유명기업들은 거의 예외없이 높은 자기자본이익률(ROE)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참고: 나무위키